http://news.hankyung.com/201202/201202093840t.html?ch=news

한국경제 기사인데...
이거 좀 재밌다.

http://ask.nate.com/qna/view.html?n=11065854

화이트 데이 선물로 어떤게 좋냐고 질문하면.
반짝이는거, 구두, 사람만한 인형 등등이 나오는데...
남자들은 순수하게 편지를 받고 싶어해야만 하는건가?

늘 그랬듯 제목 낚시에 퍼덕퍼덕
Posted by 청음

 

이 로고의 빨간부분은 태극기의 빨간 부분을 상징했다고 하는데
왜 나는 바람에 나부끼는 일장기의 빨간 원처럼 보이는지 모르겠다.

왜!

하필!

왜나라당이라고 욕먹던 새누리당에서
굳이 빨간색 원을 포인트로 한 로고를 만든건지...
뭐 디자인 적으로는 파란색 원보다는 빨간색 원이 안정감 있어 보일거 같긴 한데...
굳이 이 로고를 써야 했는지는 의문이다.

뭐 나는 진보성향이기도 하고,
한나라당을 별로 좋아하는 사람도 아닌지라...
객관적이라기보다 주관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을 수 있으나

진보 보수를 떠나 진짜 이 로고는 아닌듯;;;
Posted by 청음
동아일보에 다음과 같은 기사가 떳다.

http://news.donga.com/Politics/New/3/00/20120205/43810223/1

뭐 간단히 요약하면 미군의 예산 감축때문에 '탱크 킬러'라고 불리우는 A-10공격기를 감축한다는 논지의 글이다. 그런데... 이거 당연한거 아닌가?

일단 A-10기체의 가장 주 공격무기가 30mm 기관포다. 그런데 이 녀석의 유효 사거리가 처음에 나왔을 때에는 지대공 무기들에 비해서 길었지만 지금은 지대공 무기들에 비해 짧다. 즉 기관포로 탱크를 조준사격하여 파괴시키려면 A-10기체가 지대공 무기에 격추될 가능성을 안고 싸워야 한다는 소리다.

또한 A-10은 저속기종이다. 최고속력이 마하 1을 넘지 못한다. 따라서 유도미사일 공격에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 밖에 없다. (이점은 플레어를 뿌린다 해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이 A-10기가 전쟁에 임하기 위해서는 F-22내지는 F-15등의 공중우세기(F-22는 공중우세기 따위로 불리기엔 좀 뭐하지만;;;)로 제공권을 장악한 이후에나 출격해서 싸울 수 있다. (그래도 지대공 미사일 때문에 기관포는 못쓴다.)

미공군이 보유하던 A-10 기종중 가장 많은 기종이 A-10A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 기종은 심지어 유도미사일 발사 기능이 없다. 애초에 냉전시기에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단가를 낮춘 기종이기에 지상공격을 위한 장치를 제외하고는 철저히 배제되어 있었다. 현재는 A-10C기로 개량되어 유도기능이 있다고는 하는데 사실 이도 A-10기를 F16기종으로 교체하고자 하던계획이 예산의 압박으로 물거품이 되자 A-10기를 개량하여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개량을 해놓은 것이다.(우리가 일반적으로 아는 F16, F15등에는 기본으로 달려있다.)

이 점을 놓고 다시 말하면 A-10은 일반 전투기들에 비해서 최대적재량이 크다는 이점 말고는 아무것도 남지를 않는다. 반면에 다시 생각해보면 공중전도 제대로 안되, 저렴한 무기(기관포)를 이용해 지상의 적을 효율적으로 파괴하는 것도 아니야. 그렇다고 폭격기들에 비해서 적재량이 높은것도 아니야... 뭐 이도저도 아닌 그런 기체가 되어버린거다.미공군의 입장에서 비행기들을 도태시켜야 한다면 A-10이 가장 먼저 도태되는건 당연한 것 아닐까?.
 
사실 나는 좀 걱정인게 저 글의 리플을 보면 저 기체들 사와서 사용하자는 글들이 많던데 사실 우리나라의 지형에서는 A-10기체보다는 아파치 헬기 쪽이 더 강력한 위력을 갖기도 하고,(산악지형으로 회피기동 가능) 도태가 예정되어 있기도 한 기체를 사자는것을 보면서 그냥 좀 한숨이 나온다...
Posted by 청음


윈도우 7에서 전, 후면 포트가 따로 잡혀서
후면 스피커를 이용할때는 제어판 - 소리 들어가서 후면 스피커를 기본으로...
전면 이어폰을 이용할때는 제어판 - 소리 들어가서 전면 스피커를 기본으로...
이상하게 리얼텍 드라이버를 설치했는데도 불구하고 오디오 관리자도 안나타나구요 ㅎㅎ;
(프로세스에는 살아있는데 판넬이 안나타났죠;)
이유를 확인해보니 드라이버의 문제였습니다.

정확히는 윈도우 드라이버인데요;;;
MS에서 제공하는 드라이버가 있습니다.
이게 잡히는게 리얼텍 드라이버보다 우선순위에 놓여 있어서 MS께 깔리기 때문에
리얼텍 드라이버에서 제공되는 오디오 관리자가 실행되지않는 문제가 생긴 겁니다.
따라서 강제로 리얼텍 드라이버를 잡아주면 됩니다.
방법은

일단 리얼텍 홈페이지에서 윈7용 드라이버를 설치하신 뒤
'컴퓨터' 우클릭 속성 - 장치관리자 - 사운드쪽에 HD 오디오 우클릭 - 드라이버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컴퓨터에서 소프트웨어 찾아보기 - 컴퓨터장치 드라이버 목록에서 직접 선택 - 리스트에서 Realtek 붙은 드라이버 선택

이렇게 하시면 Realtek에서 나온 드라이버로 선택이 됩니다.
그리고 나시면 오디오 관리자가 사용이 가능해지고, 헤드폰 감지가 되서
전후면 바꿔서 사용할때마다 세팅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ㅋ

...
제가 피곤한지라 사진따윈 없지만 도움이 됐으면 좋겠네요 ㅠㅠ.

가져가실분은 출처 남겨주세요.
Posted by 청음


 구글이 안드로이드 OS의 화려한 시장진출에 이어서 최근에 크롬OS에 대한 정보를 밝혀 아는 사람들 사이에서 알음알음 화제가 되고 있다. 구글 크롬OS. 대체 어떠한 운영체제이길래 이렇게 화제가 되고 있는 것일까?

 크롬os는 리눅스 기반의 OS에 크롬 웹 브라우져를 올려놓아서 프로그램들이 크롬 웹 브라우져상아서 돌아가게 만드는 OS이다. 이는 PC 사용자들의 컴퓨터 사용 목적이 인터넷 사용에 있고, 현재 돌아가는 프로그램들이 대부분 서버상에서 돌아가는 클라우드 형태로 바뀜에 따라 클라이언트단의 단말기에서는 무거운 OS를 돌려 직접적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들을 돌릴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론으로 하여 만들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현대의 인터넷은 파일들을 서버에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하면 서버에서 실행하여 그 결과값만을 웹 브라우져 = OS 라는 공식을 만들어서 웹 브라우져로 작동시키면 된다는 이론 하에 가장 가벼운 OS를 만들자! 정도가 그 취지라고 할 수 있겠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의 말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것이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은 곳에서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한 크롬OS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가 되는 것이다. 컴퓨터를 켰는데 그 PC에는 웹 브라우져만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인터넷이 안된다면(?)
 
 나도 물론 이 문제에 대하여는 일부는 공감한다.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사용할때 인터넷에 접근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하지만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라도 문서작업을 하거나 동영상을 감상하는 등의 기초적인 사용을 할 수 있어야 pc라고 할 수 있음을 나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말해서 '그러한 문제들을 과연 구글에서는 생각하지 않았을까?' 라는 답변을 해줄 수 밖에 없다.

 구글 크롬OS는 기본적으로 HDD의 필요성을 배제한다. 크롬 OS가 설치될 약 2GB정도의 용량만 있다면 그 외의 모든것은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해결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것이 과연 HDD를 꼭 쓰지 않아야 한다는 것일까?

 위에서 언급하였듯 크롬OS의 기반은 리눅스다. 그 리눅스들은 지금 HDD 기반에서 잘 돌아가고 있다. 그말인즉 크롬OS에서도 HDD의 마운트는 가능하다는 이야기이고 외장하드를 통해서 우리는 충분히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그 데이터들을 사용할 일부 프로그램만 앱화 시켜서 크롬OS에서 동작 할 수 있도록 만들면 그만이다.

 외장하드를 일일히 들고 다니는게 귀찮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HDD를 내장해 버려도 상관 없다. 물론 HDD를 내장할 거라면 뭐하러 크롬OS를 사용하냐는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생각해보라. 우리가 노트북을 들고다니는 주 목적은 들고다니면서 게임을 하려는게 아니라 인터넷을 하거나 문서작성을 하거나, 아니면 동영상 시청정도의 목적을 위해 사용한다. 그런데 굳이 밖에서 HDD를 늘 켜고 다닐 필요가 있을까?

 필자의 노트북은 배터리 수명이 다 되서 윈도우를 정상 부팅했을때 약 5~10분정도밖에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USB스틱을 이용해 Ubuntu 부팅을 하여 HDD를 언마운트 해 놓는 경우 30~60분 가량 사용이 가능하다.(이유는 잘 모르겠다. 아마도 가벼워서 CPU가 낮게 잡히는 것일지도) 이와 마찬가지로 크롬OS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즉 다시 말해서 USB를 이용해서 크롬OS를 사용하면 저전력으로 노트북의 사용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 필요할때 HDD를 마운트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고.

 물론 이렇게 사용하면 매번 USB를 들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그렇다면 노트북에 낸드플래시 하나를 몰딩하면 어떨까? 물론 멀티부팅이 되어 부팅시간이 길어질 우려가 있으니 부트로더를 낸드(크롬OS) 따로 HDD(클라이언트중심 OS) 따로 작성하고 바이오스상에서 낸드 플래시를 우선 순위로 잡게 하고, 낸드플래시의 전원 On, Off를 노트북 밖의 스위치로(마치 듀얼vga 초창기 조절했던 것 처럼) 조절 할 수 있게 한다면? 저전력으로 빠른 부팅(mp3을 틀기위해서나 인터넷 강의 들을때 윈도우 켜는것도 귀찮다!!!), 빠른 인터넷 사용을 보장하는 크롬OS와 전력소모는 많더라도 게임이든 고사양 그래픽 작업이든 가능한 OS가 공존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구글이 원한것과는 다른 방향이겠지만 굳이 만들어주겠다는데 안 쓸 이유는 없다. 또 사실 크롬OS가 리눅스 위에 크롬 웹 브라우져를 올려 실행시키는 것이다 보니 추후 안드로이드와의 합체 가능성도 기대해 볼 수도 있다.(4기가정도의 낸드플래시에 안드로이드 앱 설치해 가지고 노는용도로도 괜찮을 거 같다) 구글이 선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여러가지이다. 나는 앞으로 구글이 크롬OS를 위해서 어떤 선택을 가져가는지 기대해본다.

Posted by 청음
이전버튼 1 2 3 4 이전버튼